모쪼록 전세계 아무나 볼 수 있는 전체글로 무언가를 남길 때는,
"매일 신나고 즐겁고 화창해요. 저는 정말 행복하답니다!"
라고 적고 싶지만, 요즘은 이유없이 우울하고 기운이 없는 시기가 이어지고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38.gif)
카톡개의 표정처럼 내가 처한 상황이 복에 겨운 일들이 많기 때문에 이런 얘길 하는 것 자체가 겸연쩍기까지 하다. 누군가가 불행하지 않다면 행복한 인생이다라고 말했었는데, 지금의 나는 "불행"한 상태는 아니기에 행복한 인생인가? 분명 내가 생각했을 때 요즘의 내 일상은 불행할 일이 없고, 오히려 감사해야 할 일들이 정말 많은데 도대체 왜! 나는 이렇게 우울하고 기운이 없는 것인지?
매우 좋은 회사에서 인턴을 하면서도 (심지어 사수분마저 인생 멘토급의 천사), 곧 일 년만에 얼굴을 보게되는 남자친구가 미국으로 올 예정이면서도, 데이터 과학 분야에서의 탑 컨퍼런스에 낸 논문이 구두 발표를 하게 된 좋은 소식이 있으면서도 이유를 알 수 없는 우울함이 나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. 이것이 한 달에 한 번씩 찾아오는 호르몬의 장난이라면 차라리 마음이 편하겠는데, 연구에 집중이 안되는 기간이 꽤나 몇 달 째 길어지고 있다.
해야 할 일을 명쾌하게 해치운다기 보다 매일 매일 조그마한 방패로 화살속을 막아보려 하는 그런 마음이랄까.
연구자들이 느끼는 Imposter Syndrome, 즉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나는 과대 평가 받고 있다는 느낌, 그래서 결국 진짜를 알아보는 사람들에게서 당당할 수 없다는 그런 생각 때문인가. 아니면 나와 늘 함께 해주는 누군가가 "물리적"으로 부재했던 기간이 1년여가 되면서 마음이 공허함과 외로움에 취약해져서 인가. 무엇이 나를 지금 내가 하는 일에 집중하게 하지 못하고 있는지 참 의문이다.
이러한 무력감 구름이 내 머리위에 위젯처럼 둥둥 떠나니고 있다는 사실은 썩 유쾌하지 않다.
하지만 그 유쾌하지 않음이 나의 소중한 오늘을 집어삼키는건 더욱 더 유쾌하지 않다.
이렇게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이유도 조금이라도 그 무력구름의 신호를 낮추고 나 자신을 조금 더 단단하게 본질적인 삶의 궤적에 올려두고 싶기 때문이다.
예전에 서강대에서 라틴어수업을 들었을 때 한동일 교수님이 수업시간에 해주신 말이 있다.
"왜 최상의 컨디션으로 공부해야만 합니까?"
이 말을 들은지 거의 십 년이 다 되어가는데 아직도 또렷하게 기억나는 이유는 나에게 힘이 없는 상황에서도 공부를 하게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다. 그 전까지는 최상의 컨디션(a.k.a 내가 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) 상태에서만 공부를 하려고 했는데, 이 말을 듣고 나서는 기분이 안 좋든, 몸이 아프든, 내가 해야하는 일이 있으면 꾸역꾸역 지친 심신으로 어찌어찌 일거리들을 해결해가는 것도 가능하구나라고 생각하게 되었다.
- (변화 전)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다 -> 최상의 컨디션이 돌아 올 때까지 기다리고 회복되면 한다.
- (변화 후)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다 -> 최상의 컨디션이 아닌 상태로도 할 수 있으니 뭐라도 해봄 (여전히 안내키고 아웃풋이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음 - 제출은 가능한 상태
변화 전의 경우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기에, 굉장히 많은 통제와 규칙들이 필요했다. 실제로 수능과 같은 목표가 명확한 입시 교육만을 목적으로 했을 때는 변화 전의 방법이 매우 잘 먹혔다.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내 컨디션만 최상이면 되는게 아니라 다른 주변 사람들 및 시대적 상황 등 다양한 컨디션이 나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조건들을 안고 가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. "제출은 가능한 상태" 라는 표현이 나의 요즘 일처리의 단면을 적나라하게 요약하는 것 같다. 그래 제출은 하잖니 그래도.
내가 언제나 기쁘고 들뜬 열정 가득한 새내기의 마음으로 연구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안다. 또한 내 신체와 마음이 언제나 베스트 컨디션을 유지하며 의자에 오래 앉아서 총기 가득한 눈빛으로 논문을 쭉쭉 써내려 갈 수 없음도 안다. 박사 생활을 한 지 만으로 3년이 꽉 채워져 가는 지금. 나는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다. 이유없이 우울하고 무력한 시기를 겪고 있다. 이런 상태로도 뭐라도 해보고 있는 지금의 나에겐 성과 위주의 평가를 멈추고자 한다. 대신 오늘 하루 또 한 번의 일상을 잘 넘겨 간 스스로를 칭찬하고 다독여 주련다. 이 일기의 마무리는 내가 좋아하는 또 오해영의 명대사로.
그래서 내일 일정은 새벽 6시 코딩 부트캠프부터 시작한다구?
나새끼 애틋해 증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niniz/large/046.gif)
'플로리다 PhD lif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느 때보다도 더 필요한 Resilience (1) | 2022.11.07 |
---|---|
졸업에 한 걸음 더 가까이 - Written Area Exam (0) | 2022.10.12 |
취준생이 쫄게 되는 순간 (0) | 2022.03.01 |
2022 여름인턴 지원 현황 (0) | 2022.01.11 |
정말 가고 싶은 회사를 떨어졌을 때 (0) | 2021.12.30 |